
PRIME 전략을 통해 일상 관리하기
걸음걸음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매일 목표를 세우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어떻게하면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한 결과, 플래너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단순히 플래너를 사용하는건,, 100% P인 나에게 있어서 쉽지 않았고, 일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신력을 소모하다보니 스트레스가 정말로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래서 나는 PRIME 이라는 새...
걸음걸음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매일 목표를 세우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어떻게하면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한 결과, 플래너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단순히 플래너를 사용하는건,, 100% P인 나에게 있어서 쉽지 않았고, 일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신력을 소모하다보니 스트레스가 정말로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래서 나는 PRIME 이라는 새...
JPA 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을 훑는다. 기본적인 내용을 알고 있다면 무시해도 좋다. JPA 를 사용하는 이유 JPA를 사용하는 이유는 쿼리를 수행하는 테이블의 개수가 복잡해질수록 간단하게 코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Entity의 정의 JPA를 사용하면, Bean 데이터를 직접 테이블로 매핑할 수 있는데, 이때 이 Bean을 엔티티 라...
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을 만들면서 기존 JDBC 를 썼다. 그런데, Spring JDBC 와는 무슨 차이일까. 그 차이점을 알아보자. JDBC란 JDBC는 1997년 Sun Microsystems (현재 Oracle) 에서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접근 드라이버다. 사실상 자바 플랫폼의 핵심 API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표준 데이터베이스 접근 방식으로...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로깅 레벨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자. 각 로그 단계 각 로그 단계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trace debug info warning error off 위에서부터 출력을 많이하고, 가장 아래가 출력을 적게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스프링에서는 해당 로그 단계를 출력 설정하려면, applica...
Docusaurus 문서블로그를 만들고 있는데, 빌드 설정 성능 최적화를 하다가, 아래와 같은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즉, 직역해보면 실제로 <p> 태그를 연 적이 없는데 닫힌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내 프로젝트에서는 열리고 닫히는 태그는 모두 코드 에디터가 확인해서 오류가 없던 상황이었다. 도대체 무슨 일일까? 원인 나는 몰랐...